유동성 관리, 현장 안전 관리, 포트폴리오 재정비 등 주요 목표 달성을 넘어 기업 존폐 여부에도 영향을 미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3년 3대 건설경영 이슈 선정
[대한 경제=정석 기자]#2022년 시공 능력 평가액 순위 10위권 내의 A건설사는 내년, 디벨로퍼, 도시 정비 등을 중심으로 6조원의 수주 물량 확보를 계획했다.
이는 올해 수준과 같다.
또 앞으로 건설 현장 수 증가에 따른 안전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고 보고 현장 관리에 각별히 신경을 쓰기로 했다.
#올해 이치츠보액 순위 60위권 내의 B건설사는 CEO의 지시로 내년 소규모 도시 정비를 제외한 주택 사업은 모두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
해외에서도 대외 경제 협력 기금(EDCF)지원 ODA(공적 개발 원조)프로젝트에만 참석하는 등 안정성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한국 건설 산업 연구원이 자금 조달 및 유동성 관리 건설 현장 안전 관리, 그리고 사업 포트폴리오 재정비를 2023년 건설 산업의 3대 경영 이슈로 선정했다.
3강세(고물가, 고금리·고 환율)시절과 경기 침체의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3대 경영 이슈 대응에 의한 건설 업체의 수주 목표 달성은 물론 존폐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28일 한국 건설 산업 연구원에 따르면 내년에는 어느 때보다 건설 회사의 “자금 조달 및 유동성 관리”가 중요하게 된다고 판단된다.
여기에는 SOC(인프라)투자의 감소에 의한 수주 물량 감소, 부동산 경기 침체로 미분양 증가 등 건설 회사의 수익성 저하가 배경이다.
반면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대출 위축으로 자금 조달 어려움이 커지고 자재 가격·인건비 상승에 따른 건설 회사가 지급해야 할 비용은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유동성 확보 여부가 내년의 최우선 과제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건설 회사도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High Risk high return) 아니라 안정성 확보에 집중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올해 1월부터 시작된 주택 재해 처벌 법에 맞추어”건설 현장 안전 관리”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건설업의 경우 산업 특성상 제조업과 함께 중대 재해 발생의 가능성이 높고, 안전 취약 계층(고령자·외국인)도 점차 증가했다.
그 후 정부는 올해 11월 내놓은 “중대 재해 감축 로드맵”을 통해서 2026년까지 사고 사망 만인률을 OECD평균에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그만큼 안전 관리에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
“사업 포트폴리오의 재정비”도 요구된다.
올해 상반기까지 최근 몇년간 부동산 경기가 호황을 누렸고 많은 건설 회사가 주택 사업에 초점을 맞춘 경영 활동을 해왔다.
건설 회사의 인재도 주택 사업에 집중했다.
올해 하반기부터 부동산 시장이 급랭하면서 내년에는 토목·플랜트 또는 해외에 다양화한 포트폴리오를 짜다는 분석이다.
인원도 이에 맞게 개편될 전망이다.
한국 건설 산업 연구원 이·지혜 부연 구위원은 “내년은 공공·민간 부문 건설 투자가 줄고 건설 산업 환경도 급변하는 등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해를 보낼 것으로 보인다”로 “이런 이슈 대응이 건설 회사의 경영 성공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석 한 기자 jobize@출처:대한 경제 신문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212281323051070529
2023년 건설산업 3대 이슈 대응에 생사가 걸린 www.dnews.co.kr
2023년 건설산업 3대 이슈 대응에 생사가 걸린 www.dnews.co.kr2023년 건설산업 3대 이슈 대응에 생사가 걸린 www.dnews.co.kr